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 객체 현실이든 가상이든 속성과 행동으로 떠올릴 수 있다면 모든 것이 객체입니다. 1-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로그램을 여러개의 독립된 객체들과 그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하는 프로그래밍 접근법을 말합니다. 프로그램을 객체들과 객체들의 소통으로 바라보는 것 게임 캐릭터 객체 속성 : 체력, 목숨, 소유중인 총 행동 : 총을 장전한다, 총을 쏜다, 이동, 체력 0되면 죽음 총 객체 속성 : 모델명, 무게, 장전 총알 갯수 행동 : 총알 발사 총알 객체 속성 : 공격력 행동 : 캐릭터의 체력을 공격력만큼 - 하기 우리가 보는 거의 모든 것들을 객체라고 볼 수 있고 해당 객체들의 속성과 행동 그리고 이것들을 통해 상호작용 하는 프로그래밍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 합니다. 2. ..
1. 문제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려 합니다. 노래는 고유 번호로 구분하며, 노래를 수록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노래의 장르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genres와 노래별 재생 횟수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plays가 주어질 때, 베스트 앨범에 들어갈 노래의 고유 번호를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genre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의 장르입니다. play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가 재생된 횟수입니..
추상자료형이란? CodeIt 자료구조 수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기능 연산이 "무엇"을 하는지를 의미합니다. 삽입 연산 기능 순서 데이터에서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 저장 구현 기능을 "어떻게" 작성 하는지를 의미합니다. 연산시 필요한 기능 자체를 코드로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추상화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몰라도 기능만 알아도 사용할 수 있는 것 추상 자료형 자료구조를 추상화 한 것 데이터를 저장/사용할 때 기능만을 고려 리스트 사용 동적배열, 링크드리스트: 자료 구조 리스트: 추상 자료형 추상 자료형 vs 자료 구조 추상 자료형은 어떤 한 기능에 집중하여 구현이 필요 없으나 자료 구조의 경우 어떤 한 기능에 집중하려 한다면 코드 구현이 필요합니다. 추상 자료형을 생각하면 구현없이 코드의 맥락과 흐름에 ..
본 포스팅에 적혀진 코드 작성 부분의 필드명, DB명은 포스팅을 위해 가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대신 코드는 직접 작성하였고 업무상의 내용이 포함되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였습니다. 1. 문제상황 Django를 통해 API를 개발하면 SQL 대신 ORM을 사용하게 됩니다. Django는 ORM을 작성 할때 debug_toolbar라는 미들웨어를 통해 보다 쉽게 query explain과 select query문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쿼리의 갯수와 실행계획, ORM을 통해 작성된 쿼리 확인 가능 평소처럼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는데 년/월 기준 전체 강사들의 정산 페이지의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는 리스트 페이지 API를 개발해야 하는 업무가 생겼습니다. 작업해야하는 API의 조건은 전혀 문제되지 않아 작업에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